서비스 로케이터란?
스프링을 공부하던 중 의존 해결을 위한 방법으로 서비스 로케이터와 DI가 있다고 배웠다. 하지만 서비스 로케이터를 제대로 설명하는 경우는 별로 없는듯 하다. 많은 부분에서 알지는 못하지만 이해한 곳까지는 적어보려 한다. 서비스 로케이터(Service Locator)는 마틴 파울러에 의해 유명해진 디자인 패턴이다. JNDI를 생각하면 빠르게 이해할 수 있을
스프링을 공부하던 중 의존 해결을 위한 방법으로 서비스 로케이터와 DI가 있다고 배웠다. 하지만 서비스 로케이터를 제대로 설명하는 경우는 별로 없는듯 하다. 많은 부분에서 알지는 못하지만 이해한 곳까지는 적어보려 한다. 서비스 로케이터(Service Locator)는 마틴 파울러에 의해 유명해진 디자인 패턴이다. JNDI를 생각하면 빠르게 이해할 수 있을
Spring Boot는 @RestClientTest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입장에서 서버에 REST 관련 테스트를 지원한다.REST API의 경우 일반적으로 JSON 형태로 데이터를 돌려준다. 기본적으로 @RestClientTest는 Jackson, GSON(Google-
Spring Boot를 통해 Data JPA를 테스트하고자 하는 경우 @DataJpaTest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어노테이션을 사용할 경우 in-memory embedded database가 설정되며 @Entity 클래스를 스캔한다. 일반적인 @Component 빈은
스프링부트는 Spring MVC의 컨트롤러 테스트를 위해 @WebMvcTest 어노테이션을 제공한다. WebMvcTest는 MockMvc를 구성하기 때문에 모의 MVC 형태로 HTTP 서버를 구성할 필요 없이 신속한 테스트를 가능케 한다. @SpringBootTest는
스프링 부트는 테스트의 편의성 제공을 위해 스프링부트 테스트 스타터를 제공한다.spring-boot-starter-test 스타터를 제공하며 이 스타터에는 spring-boot-test와 spring-boot-test-autoconfigure라는 두 개의 스프링 부트